반응형
⚗️ 일정 성분비의 법칙 (Law of Definite Proportions)
✅ 1. 정의
"같은 화합물은 항상 같은 원소로, 같은 비율로 이루어진다."
✔ 아무리 많이 만들거나, 적게 만들거나,
✔ 어디에서 만들었든 하나의 화합물은 구성 원소들의 비율이 항상 일정하다는 뜻이에요.
✅ 2. 누가 제안했을까?
- 조제프 프루스트 (Joseph Proust) – 프랑스 화학자
- 1799년, 실험을 통해 이 법칙을 주장했고
- 그래서 이 법칙은 **프루스트의 법칙(Proust’s Law)**이라고도 불려요!
✅ 3. 예시로 이해하기
🔸 물(H₂O)의 예
- 수소 2g + 산소 16g → 물 18g
- 어떤 물이라도 수소:산소 = 1:8의 질량비를 가짐
👉 수소 10g이면 산소는 80g 필요!
🔸 이산화탄소(CO₂)의 예
- 탄소 12g + 산소 32g → CO₂ 44g
- 항상 탄소:산소 = 3:8의 질량비
✅ 4. 특징
특징설명
✅ 변하지 않음 | 같은 화합물은 언제나 일정한 비율 |
✅ 구분의 기준 | 화합물과 혼합물의 차이를 알 수 있음 |
✅ 화학식과 연결 | 원소 간의 정확한 원자 수 비율로 표현 가능 |
✅ 5. 혼합물과의 비교
항목화합물혼합물
구성 비율 | 항상 일정함 (🔑) | 변할 수 있음 |
예시 | 물(H₂O), 이산화탄소(CO₂) | 공기, 소금물 |
💡 한 줄 요약
“화합물은 같은 원소가 항상 같은 비율로 결합되어 있다.”
📌
Law of Definite Proportions:
A chemical compound always contains its component elements in fixed ratio by mass.